제 228회 긴급가족회의 회의록(안건 : 싸우고 난 후 감정적인 행동을 하지말자)
작성자
gandhi
작성일
2019-11-18 15:39
조회
782
제 228회 긴급 가족회의
날짜 : 2019년 11월 12일 화요일. 오전 9시 45분
참여자 : 안지민, 서우솜, 이채령, 맹준영, 김현진, 원다연, 이은영, 김태영, 이연우, 조유나, 최필숙, 김정옥, 백정명, 김재상
회의진행 : 백정명
공책서기 : 최필숙
<안건>
싸우고 난 후 스스로를 해치는 행동에 대해
<알림 및 건의사항>
날짜 : 2019년 11월 12일 화요일. 오전 9시 45분
참여자 : 안지민, 서우솜, 이채령, 맹준영, 김현진, 원다연, 이은영, 김태영, 이연우, 조유나, 최필숙, 김정옥, 백정명, 김재상
회의진행 : 백정명
공책서기 : 최필숙
<안건>
싸우고 난 후 스스로를 해치는 행동에 대해
- 재상 : (어제 저녁에 있었던 사건 설명) 은영님, 채령님 싸움. 너무 흥분하고 진정이 안 된 상태. 싸움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그 후에 한 행동이... 싸움 후 40분 동안 집에 전화해달라고 실랑이를 하다가 “나 뛰어 내릴 거다.”, “내가 못 뛰어내릴 것 같아요?” 하면서 2층으로 뛰어올라갔다. 여러분들도 공포스러웠을 것이다. 말을 함부로 한 것에 대해, 다른 사람의 마음의 상처, 공포에 대해서는 생각을 안 했는지...
- 채령 : 일단은 가족분들에게 죄송하구요. 나랑 싸운 후 “뛰어내리겠다”하고 2층으로 올라가는 소리를 듣고 ‘왜? 나 때문에 뛰어내리는 건가?’ 공포감이 들었다.
- 은영 : 뛰어내리려고 한 것이 채령님 때문이 아니다. 오해하신 거다.
- 정옥 : 그럼 왜 뛰어내리려고 했는지, 그런 말을 왜 했는지 알고 싶다.
- 은영 : 모르겠다. 저도 모르게 튀어나왔다.
- 채령 : 그럼 말로만 하지 왜 2층까지 뛰어올라갔는가
- 정명 : 진행 차원에서, 비방의 차원은 아니었으면 한다. 정중하게 질문을 해주기를 바란다.
- 지민 : 재상쌤한테 전화해달라 말이 들렸고 “올라간다”는 말이 들렸고 재상쌤이 은영이 좀 데리고 가라고 해서 갔는데 재상쌤이 정중하게 “은영님 손 좀 잡고 내려가 달라”고 해서 데리고 가려는데 은영님이 안간다고 버텼다. 너무 추워서... 재상쌤이 들어가라고 해서 방에 들어갔는데 내가 잘 때까지 은영님이 안 왔다.
- 재상 : 전화를 못했을 때, 저를 전화 목적으로 위협한 것 같다. 그런 거 안 통한다. 혹시 다른 목적이 있었는가
- 다연 : 어제 남자 소리가 나서 무서웠는데 재상쌤이었다.
- 정명 : 당사자 이야기 해줄 수 있겠는가
- 은영 : 모르겠다.
- 정명 : 은영님이 기억하시는 내용을 들어보겠다. 친구(채령님)와 갈등부터 기억나는 것대로 얘기해줄 수 있겠는가.
- 은영 : 기억이 하나도 안 난다.
- 정명 : 자기가 본 것으로 이야기해줄 수 있겠는가.
- 태영 : 제가 침대에 누워있는데.. 양쌤이 몇십 번을 얘기했는데 은영님이 안 들어서 잠도 못 잤다.
- 현진 : 양쌤이 “은영님, 내려가주세요.” 계속... 은영이 전화 어쩌구.... 소리가 들렸다.
- 지민 : 양컴님이 엄마에게 전화를 한 것 같다. 엄마가 내일 얘기하자고 하는 것 같았다. 그래서 재상쌤이 은영님에게 전화를 안 시켜준 것 같다.
- 채령 : 약 먹고 누워있는데... 당사자가 얘기 안했다. 양컴님한테 “사과해주세요” 등 양쌤을 거쳐서 나에게 사과를 했다. 그래서 사과도 안 받았다.
- 지민 : “내가 오늘 흥분을 해서 좀 그랬던 것 같다. 미안하다.”고 양컴님이 사과했고 은영님 사과하라고 했는데 안 했다. 그것을 보고 들었다.
- 재상 : 은영님이 흥분을 가라앉으니깐 사과를 하고 싶어하는데 잘 안 되는 것 같다. 내가 많이 도와주려고 한다. 그런 점을 잘 알았으면 한다.
- 정옥 : 두 가지를 얘기하고 싶다. 첫째는 어제 같이 있는 친구들 공포, 무서움 그런데 당사자는 기억이 안난다로 덮어버리면 될 것인가. 둘째는 사과는 정확하게 그 사람 눈을 보면서 진정으로 하는 것이다. 대신 사과하는 것은 아니다.
- 채령 : 어제 은영님께서 제게 직접 사과 안할 것 같아서 못 했다고 하는데 사과는 상대가 받아줄 때까지 하는 것이다. 어제 잠도 못 잤다. 나도 소리 질렀는데 ...은영님이 소리를 질러서 “나도 소리를...”, “나는 그렇게 안했어.”, 내게는 그렇게 들렸다. “언니 귀가 이상하겠지”라는 말이 충격이었다.
- 은영 : 그때 언니에게 귀 먹었다 소리를 하긴 했는데 언니가 “어, 나는 장애인이야.”라고 해서.. 난 장애인이라고 말하지 않았다.
- 정명 : 내용의미를 잘 생각했으면 좋겠다. 세세한 말까지는 신경쓰지 않았으면 한다. 재상쌤이 말한 부분에 대해 기억이 나는가? 기억나는데 부끄러워서 말을 못하는 것인가? 기억이 전혀 안 난다면 우리가 해결하기는 쉽지 않는 것 같다. 우리가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여기서 함께 하는 게 힘들 수도 있을 것이다. 은영님이 용기를 내면 좋겠고 만약 두 번째에 해당된다면 조심스럽지만 우리가 어떻게 할 수는 없다. 내가 여러분에게 화를 내고 때리거나 욕해놓고 그것이 기억이 안 난다고 하면 이 곳에 있을 수 있겠는가. 이곳에 있어서는 안 되는 사람이다. 은영님께서 이 부분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보면 좋겠다.
- 현진 : 은영님, 계속 기억이 안 난다고 하면 정신과에 가야 하는가?
- 정명 : 말이 조심스럽다고 했다. 우리가 어떻게 할 수 있는 영역이 아니라는 말이었다.
- 정옥 : 은영님 화가 올라올 때 쌤들과도 이야기 했고... 다시... 자제할 마음이 있는지..
- 재상 : 그 부분에 대해서는 지민님과 얘기한 게 있는데 화가 올라온 게 100이면 60까지 낮춰보자는 얘기도 했다. 그 후에 다시 화가 올라와 일이 이렇게 되었다.
- 정명 : 은영님 용기 내는데 도움을 주면 좋겠다.
- 준영 : 어제 어떻게 싸웠는가?
- 재상 : 중요한 질문이다. 당사자들이 얘기 해주면 좋겠다.
- 다연 : 간단하게 말다툼하다가 갑자기 친해지고 그랬다.
- 재상 : 현진님, 맹준님이 채령님은 놀래켜서 채령님이 뛰어올라왔다. 다연이도 은영이랑 싸웠다면서 울면서 올라왔다. 은영님 그 마음을 가지고 채령님에게 풀었던 것 같다.
- 은영 : 내가 나가고 언니가 계단에서 내려오는데...내가 문을 쾅 닫았다. 뭐라고 했는지는 기억이 안 나는데... 내가 뭐라고 한 것 같고 싸운 것 같다.
- 현진 : 싸움의 원인은 채령님이 문을 안 닫았는가?
- 은영 : 내가 문을 닫았다.
- 정명 : 싸움의 원인에 대한 답변을 해주면 좋겠다
- 채령 : 현진, 준영님이 나를 놀래켜서 너무 화가 나서 울고 있었는데 은영님이... “언니 문 닫고 가” 짜증내면서... 내가 계단 다 올라갔을 때 들었다. 계단에서 내려오는데 “문도 안 닫고 가고 아 짜증나” “나 때문에 짜증난 거야?” “아니라고” 하면서....
- 은영 : 그 상황에 채령님이 내려올 때 “아, 진짜!!”라고 했는데 채령님이 “짜증나”라고 했다.
- 정명 : 서로 오해할 수 있다. ‘짜’자가 “진짜”,“짜증”으로 들렸을 수도 있겠다.
- 유나 : 은영님이 거실 쪽으로 가고 있는데 채령님이 “왜 나 때문에 짜증나?” 은영님이 “그것 때문이 아니라고”하면서 일이 커졌다.
- 정명 : 긴급 가족회의 열린 이유를 기억하면 좋겠다. 2층에서 뛰어내리겠다. 긴 시간 대치 상황... 그것에 대해서...
- 재상 : 이 말을 드리고 싶다. 공동체라는 게 무엇인가? 여럿이서 하나로 생활하는 것이다. 눈 아프면 몸 전체가 아픈 것이다. 누구의 아픔이 있으면 전체가 아픈 것이다. 누가 아프면 우리 전체가 아픈 것이다.
- 정명 : 긴급.... 열릴 수밖에 없었던 이유, 어떤 친구가 자신의 머리를 때리며 자해한 행동.. 이젠 하지 않는다. 이것이 나쁘다는 것을 우리 모두 알고 있다. 은영님의 행동... 모두의 의견을 들어보겠다. 은영님의 마음 상태...
- 재상 : 쌩쌩하다.. 눈빛이 기억난다. “나 뛰어내릴 거야” “내가 못할 것 같아요.” 내 눈을 보면서.... ‘해봐라. 내가 어떻게 하는가 봐라’란 마음과 ‘마음이 정말 아프구나. 어떻게 해야 할까’ 두 가지 마음에서 중심을 잡을 수가 없었다. 그래서 평소와 다르게 중립을 잡기 위해 “은영님, 이렇게 해주세요.”라고 말했다. 솔직한 심정으로는 어디론가 가서 쉬고 싶다.
- 지민 : 중간에 내려가서 자고 있어서 잘 몰랐는데.... 다른 사람과 싸울 때 감정이 폭발해서 그런 것 같다. 은영님도 그때 짜증과 화가 폭발났던 것 같다. 화가 났는데 엄마에게 전화를 못하니깐 더 그랬던 것 같다. 양컴님 말처럼 진짜 그러면 어쩌지하고 생각이 들고 무서웠다. 경찰서에 가야 하는 건가...라고도 생각했다.
- 필숙 : 은영님, 어제 있었던 일들을 피하려고 하지 말고 완전히 자기 것으로 생각했으면 좋겠다. 자신이 했던 일들을 그대로 인정을 해야 다음부터는 조금씩이라도 고쳐나갈 수가 있다.
- 다연 : 솔직히 얘기해서... 꽤 무서웠다.
- 유나 : 약간 방 안에서 들어보니까 둘이 싸우면서 갑자기 싸움 갑자기 조용... 은영님 죽는다는 얘기... 무서웠다.
- 현진 : 죽고 싶었을 것이다. 사과를 하려니 사과도 안 받아주고.. 전화도 못하고... 죽으면 편하니깐....
- 우솜 : 전 어제 은영님이 울고 있는 것만 보고 갔는데 양컴님 얘기 들으니깐 큰일이 있었던 것 같다. 40분 동안 서로 그렇게 했으니깐 힘들었을 것 같다. 은영님도 힘들었을 것 같다.
- 정옥 : 충동적으로라도 죽는다고 하는 건 아니다. 내 뜻대로 안되면 화가 난다. 하지만 목숨은 소중한 것이다. 이것을 알아가야 한다. 그렇게 함부로 말해서는 안 된다. 교육을 왜 받을 것인가. 자학, 자해 함부로 하는 게 절대 아니다. 절제를 배워야 한다. 안된다고 해서 죽는다고 위협하고 그런 행동을 해서는 안 된다. 죽는다고 생각하는 그 순간부터가 불행이다. 지난번에 00친구가 조언도 받고 책임활동하면서 자신을 해치는 행동을 하지 않게 되었다. 은영님은 좀 더 책임활동을 잘 수행하면서 생명의 소중함을 느껴보았으면 한다.
- 준영 : 은영님 자살한다고 해서 양컴님이 힘들었을 것 같다.
- 채령 : 은영님 저랑 싸워서 뛰어내린다고 한 게 아니라고 해도 은영님이 진짜 뛰어내려 다치기라도 했으면 내 책임에 대한 기억이 평생 갈 것이다.
- 정명 : 재상쌤 전화 받고 마음이... 진짜로 할 아이는 아니다고 생각하면서도 걱정이 많이 되었다. 충동적 신경질적 부분... 많이 좋아지고 있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 고민이 된다. 은영님 기억이 안 난다고 하니... 기억을 해내야 한다. 자기를 보호하려고 해서 더 회피하게 되면 더 힘들어질 것이다. 자기도 기억 못하는 행동이 반복된다면 주위에 아무도 없게 된다. 가장 힘든 건 낳아주신 어머니일 것이다. 그 일을 겪었던 모든 분들... 나였으면 함께 못 있었을 것이다.
- 태영 : 은영님이 뛰어내리려고 올라왔다고.. 울면서 엄마한테 전화 해달라고 하고... 지금까지 이렇게 심했던 적은 처음이다. 양컴님 인내심이 대단하다고 생각한다.
- 연우 : 잘 모르겠다.
- 은영 : 제가 2층에 올라가서 뛰어내리려고 한 건 지금 기억이 났는데 채령님과 싸웠을 때는 기억이 잘 안 난다. 뛰어내리려고 했을 때 내 뜻대로 안되니깐 뛰어내리려고 했다.
- 정명 : 그런 이야기 해줘서 고맙고 다른 사람이야기 듣고 어떤 생각이 드는지 얘기해줄 수 있는가
- 은영 : 듣고 기억이 날랑말랑 하는데 그래도 잘 안 난다. 양컴쌤한테 전화해달라고 한 게 기억이 난다. 계속 엄마한테 전화해주세요. 라고 했다.
- 정명 : 모두의 이야기를 듣고 은영님이 전체를 위해서 이야기 해줄 수 있는가
- 은영 : 제가 많은 피해를 준 것 같다.
- 정명 : 앞으로도... 이런 일 안 하도록 노력해줄 수 있는가
- 은영 : 어제 양컴님이 기숙사 방에서 한 가지 약속을 했다. 그것 때문에 앞으로는 심하게 하지 않을 것이다.
- 정명 : 어제 일은 어제 일로 끝내고 앞으로는 재상쌤과 약속한 것 잘 지킬 것이라 생각한다. 어제 일에 대한 책임활동은 필요하다. 여러분들이 의견을 주고 최종 결정은 교사회에서 하도록 하겠다.
- 유나 : 책임활동?
- 채령 : 자기가 한 일에 책임지는 것, 일반 학교 같으면 반성문 쓰고 하는 것, 묵언, 도보 같은 것.
- 지민 : 양컴님께 사과 편지 A4용지에 빽빽하게 쓰기. 침묵해서 도보하기
- 현진 : 말로 공포스럽게 했으니 묵언 도보 1~2회
- 필숙 : 나와 함께 108배, 5분 명상 10회!
- 유나 : 서로가 서로에게 편지 쓰기. 다시는 안 그런다는 다짐 약속
- 채령 : 도보 왕복 1회. 사과 편지
- 현진 : 노작, 밭에서 잡초뽑기, 화장실 청소, 무 다 큰 것 뽑기, 닭장 청소 등
- 필숙 : 본인 이야기도 들어보고 싶다.
- 은영 : 현진님 말한 것 그대로 하고 싶다. 닭장 청소, 무 뽑기, 재밌을 것 같다.
- 채령 : 책임활동인데... 재미있어서 하는 건 아닌 것 같다. 자기 책임지는 것이다. 지루하더라도 도보나 사과 편지를 했으면 좋겠다.
- 현진 : 자신있게 깔끔하게 이거면 나도 잘 할 수 있겠다고 생각해서 말한 것이 아닐까
- 채령 : 도보하면서 쓰레기 줍기
- 지민 : 도보도 좋고... 낙엽이 많다. 우리 학교 주변 나뭇잎 쓸기, 은행 줍고... 내가 만든 빗자루로!!
교사회 결정 수요일 정명쌤과 진주 에나길(약 22Km) 걷기 필숙쌤과 108배, 5분 명상 5회 재상쌤에게 사과 편지, 전체에서 사과문 쓰기 |
- 지민 : 오늘 적립 마지막 날입니다.
- 다연 : 몇 시에 적립하는가?
- 지민 : 점심시간에 한다
- 필숙 : 간디여행기, 서점 나들이 때 산 책 가지고 와달라. 꼭!!!
- 채령 : 새로 온 친구들은 잘 모를텐데.. 내가 틱이 있다. 조금 이해해주면 좋겠다.
- 정명 : 오늘 긴급 가족회의, 오후에는 가이드북 만들기...
- 필숙 : 지금 가족회의 마치면 잠시 쉬었다가 지난 주 만들던 가이드북을 완성하도록 하겠다. 2시에 모여 ‘소확행 2’ 팀 짜고 할 것이다. 마치는 대로 자유 프로젝트 진행된다.
- 재상 : 학교 차원에서 알림이자 건의인데.. 그동안은 응급상황, 긴급, 심각한 것 아니면 전화를 사용할 수 없었다. 어느 순간부터 저녁에 전화요청이 많이 들어온다. 앞으로는 전면적으로 전화 사용하지 못함을 지켜주면 좋겠다. 저녁에 감정적인 마음으로 전화를 하게 되면 부모님도 걱정하게 되고 주위 아이들도 마음이 동요된다. 긴급할 때가 아니면 저녁으로 전화하는 건 하지 않도록 지켜주기를 바란다. 학교 체험 오는 아이들은 예외로 한다.
- 필숙 : 나뭇가지로 빗자루를 만들고 계신 지민님 칭찬
- 필숙 : 연우님과 아주 잘 지내고 있는 태영님 칭찬
- 지민 : 엄마 아빠 차 안 타고 혼자 버스타고 온 유나님 칭찬. 함께 온 채령님도 칭찬